2010년 이후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보급되면서, 웹사이트 제작 시 PC, 스마트폰, 태블릿 등 서로 다른 화면크기를 가진 기기(Multi-Screen)를 고려해야 하게 되었다. 이러한 이슈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device-dependent 웹디자인의 일종인 반응형 웹(Responsive Web)이 주목을 받고 있다. 반응형 웹은 콘텐츠를 기기별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, one-source multiple platform의 개념으로 디자이스의 다양한 화면크기에 맞추어, 콘텐츠의 레이아웃이나 구조를 변경하여 보여주는 방식으로 작업소요시간이 줄고 개발 및 유지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.
그러나 레이아웃 설계나 콘텐츠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어 접근성 측면에서 면밀한 고려가 필요하다.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, 법적으로도 이를 고려하도록 기업들에게 강제하고 있어서 접근성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인 사항이나 반응형 웹디자인에 대한 실험적 결과들은 많지 않다. 본 발표에서는 반응형 웹의 콘텐츠 요소별 문제점을 분석하고, 웹사이트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레이아웃, 내비게이션 등의 콘텐츠별로 현장의 실무자들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‘디자인 가이드라인’을 제시 하고자 한다.
특히 시각장애인이 스크린리더로 사용하기 어려운 UI들의 웹 접근성 개선 방법을 공유하였다. 접근성 지침에는 없지만 스크린리더 사용자의 사용성을 높이는 기능을 추가로 개발하여 시연했다. Table Tag로 콘텐츠 제작 시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헤더정보와 데이터 값을 같이 읽어줄 수 있도록 개발한 사례인데 복잡한 테이블 콘텐츠도 모바일에서 스크린리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 본다.